토목 블로그

토목 엔지니어를 위한 트렌드 및 이슈

스트럿-타이 모델의 모든 것

스트럿-타이 모델의 개념부터
구성요소까지 꼼꼼하게 살펴보세요.

자세히보기
지중구조물의 내진설계법

지중구조물의 내진설계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응답변위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자세히보기
바뀐 건설 기준, 어떻게 봐야 할까요

국가 건설 기준 코드화에 따른 변경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자세히보기

MIDAS CAD INFRA-DESIGN가 만들어 주는 횡단면도의 토적표 자동 생성 기능

MIDAS CIM 콘크리트와 철근의 재료 특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인장강도, 탄성계수, 그리고 철근의 항복강도 등에 대한 계산 방법과 재료계수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분 소요

MIDAS CAD INFRA-DESIGN가 만들어 주는 횡단면도의 토적표 자동 생성 기능

 

도로 박스 암거 설계 GUIDE - Part 4. 도로암거 설계하중

MIDAS CIM 도로암거 설계를 위한 하중 산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세요. 고정하중, 연직토압, 수평토압, 활하중, 수압, 지진하중 등 다양한 하중을 적용하는 방법과 관련된 내용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MIDAS CIVIL 프로그램을 사용해 하중을 입력하는 방법도 소개합니다. 1분 소요

🔗 [관련 게시글] KDS 44 90 도로 박스 암거 설계 가이드 시리즈 모아보기

 

Part1. 도로암거의 설계 조건과 재료 (바로가기 ↗️)

Part2. 도로암거의 지지력 (바로가기 ↗️)

Part3. 도로암거의 지반반력계수 (바로가기 ↗️)

Part4. 도로암거 설계하중 - (◀️ 현재 글)

Part5. 도로암거 설계 활하중 (바로가기 ↗️)

Part6. 도로암거 설계 하중조합 (바로가기 ↗️)

Part7. 도로암거의 내진설계  (바로가기 ↗️)

Part8. 도로암거 설계 지진하중 - 3월 출간 예정 *

Part9. 도로암거의 구조세목 - 3월 출간 예정 *

Part10. 도로암거의 철근상세 - 3월 출간 예정 *

Part11. 도로암거의 접합부설계 - 4월 출간 예정 *

Part12. 도로암거의 부재검토 - 휨검토 - 4월 출간 예정 *

Part13. 도로암거의 부재검토 - 전단검토 - 4월 출간 예정 *

Part14. 도로암거의 부재검토 - 처짐검토 - 4월 출간 예정 *

Part15. 도로암거의 부재검토 - 균열검토 - 4월 출간 예정 *

KDS 한계상태설계법 - 콘크리트 스트럿의 유효설계강도

MIDAS CIM 콘크리트 스트럿의 유효설계강도는 균열 발생 여부에 따라 다른 산정식을 제시하고 있으며, 횡방향 철근량과 스트럿과의 각도에 따라 유효설계강도가 결정됩니다. 이번 컨텐츠에서는 KDS 한계상태설계법에 따른 콘크리트 스트럿의 유효설계강도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2분 소요

🔗 [관련 게시글] KDS 한계상태설계법 모아보기

 

1.  바뀐 건설기준, 어떻게 봐야 할까요? (바로가기 ↗️)

2. KDS 한계상태설계법 - 프리스트레스트 구조물(바로가기 ↗️)

3. KDS 한계상태설계법 - 콘크리트의 건조수축(Shrinkage)(바로가기 ↗️)

4. KDS 한계상태설계법 - 콘크리트의 크리프(Creep)(바로가기 ↗️)

5. KDS 한계상태설계법 - 콘크리트의 피복두께(바로가기 ↗️)

6. KDS 한계상태설계법 - 재료 (Material Property)(바로가기 ↗️)

7. KDS 한계상태설계법 - 콘크리트 스트럿의 유효설계강도 (◀️ 현재 글)

도로 박스 암거 설계 GUIDE - Part3. 도로암거의 지반반력계수

MIDAS CIM 도로암거 설계시의 지반 반력 계수에 대한 기준을 확인하고, 지반반력계수를 산정하는 방법과 추정 방법에 대해서도 확인합니다. 2분 소요

🔗 [관련 게시글] KDS 44 90 도로 박스 암거 설계 가이드 시리즈 모아보기

 

Part1. 도로암거의 설계 조건과 재료 (바로가기 ↗️)

Part2. 도로암거의 지지력 (바로가기 ↗️)

Part3. 도로암거의 지반반력계수 - (◀️ 현재 글)

Part4. 도로암거 설계하중 (바로가기 ↗️)

Part5. 도로암거 설계 활하중 (바로가기 ↗️)

Part6. 도로암거 설계 하중조합 (바로가기 ↗️)

Part7. 도로암거의 내진설계  (바로가기 ↗️)

Part8. 도로암거 설계 지진하중 - 3월 출간 예정 *

Part9. 도로암거의 구조세목 - 3월 출간 예정 *

Part10. 도로암거의 철근상세 - 3월 출간 예정 *

Part11. 도로암거의 접합부설계 - 4월 출간 예정 *

Part12. 도로암거의 부재검토 - 휨검토 - 4월 출간 예정 *

Part13. 도로암거의 부재검토 - 전단검토 - 4월 출간 예정 *

Part14. 도로암거의 부재검토 - 처짐검토 - 4월 출간 예정 *

Part15. 도로암거의 부재검토 - 균열검토 - 4월 출간 예정 *

캐드 단면을 한 번에 해석 모델과 연동하는 방법

MIDAS CIM 단면 특성치에 대한 개념과 구성요소, 단면 특성치를 구하는 방법까지 게시글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ㅏㄷ. 4분 소요

아래 다운로드 폼에서는 아래 설명될 SPC기능을 직접 진행해볼 수 있는 캐드 파일과 
마이다스 캐드가 없이도 SPC 기능을 체험해볼 수 있는 .sec 파일이 제공됩니다. ( MIDAS CIVIL NX Import 용 )

 

↓ 다운로드 파일 바로가기 ↓


 

 

캐드 단면을 한 번에 해석 모델과 연동하는 방법?!

 

가지고 있는 도면의 단면이 별도 작업 없이 해석 프로그램과 연동 될 수 있다면 얼마나 편할까요?

단면 추출과 단면 계산 등 부가 작업 없이 기능 하나로 해결하는 비정형 단면의 구조 해석모델 연동!
이번 컨텐츠에서는 구조해석 모델 생성 시 비정형 단면의 단면 계산을 CIVIL NX와 CAD를 연동하여 손쉽게 해결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  캐드 단면을 한 번에 구조 해석 모델과 연동하는 방법 확인하기 🔗

 

 

 

단면 특성 / 단면 특성치란 무엇인가요?

도로 박스 암거 설계 GUIDE - Part2. 도로암거의 지지력

MIDAS CIM 암거의 소요 기초지지력과 허용지지력을 계산하는 방법, 암반지지력과 토사지반의 허용지지력에 대한 설명, 그리고 확대기초의 지지력 경험치에 대한 내용 등 이번 컨텐츠는 도로암거의 지지력에 대한 내용을 다룹니다. 2분 소요

🔗 [관련 게시글] KDS 44 90 도로 박스 암거 설계 가이드 시리즈 모아보기

 

Part1. 도로암거의 설계 조건과 재료 (바로가기 ↗️)

Part2. 도로암거의 지지력 - (◀️ 현재 글)

Part3. 도로암거의 지반반력계수 (바로가기 ↗️)

Part4. 도로암거 설계하중 (바로가기 ↗️)

Part5. 도로암거 설계 활하중 (바로가기 ↗️)

Part6. 도로암거 설계 하중조합 (바로가기 ↗️)

Part7. 도로암거의 내진설계  (바로가기 ↗️)

Part8. 도로암거 설계 지진하중 - 3월 출간 예정 *

Part9. 도로암거의 구조세목 - 3월 출간 예정 *

Part10. 도로암거의 철근상세 - 3월 출간 예정 *

Part11. 도로암거의 접합부설계 - 4월 출간 예정 *

Part12. 도로암거의 부재검토 - 휨검토 - 4월 출간 예정 *

Part13. 도로암거의 부재검토 - 전단검토 - 4월 출간 예정 *

Part14. 도로암거의 부재검토 - 처짐검토 - 4월 출간 예정 *

Part15. 도로암거의 부재검토 - 균열검토 - 4월 출간 예정 *

도로 박스 암거 설계 GUIDE - Part1. 도로암거의 설계 조건과 재료

MIDAS CIM 도로암거 설계에 사용되는 기준인 KDS 44 90 00: 도로암거구조설계기준에 따라 암거의 설계 조건과 재료에 대해 설명합니다.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철근의 항복강도, 그리고 한계상태설계법과 허용응력설계법도 다룹니다. 2분 소요

🔗 [관련 게시글] KDS 44 90 도로 박스 암거 설계 가이드 시리즈 모아보기

 

Part1. 도로암거의 설계 조건과 재료 (◀️ 현재 글)

Part2. 도로암거의 지지력 (바로가기 ↗️)

Part3. 도로암거의 지반반력계수 (바로가기 ↗️)

Part4. 도로암거 설계하중 (바로가기 ↗️)

Part5. 도로암거 설계 활하중 (바로가기 ↗️)

Part6. 도로암거 설계 하중조합 (바로가기 ↗️)

Part7. 도로암거의 내진설계  (바로가기 ↗️)

Part8. 도로암거 설계 지진하중 - 3월 출간 예정 *

Part9. 도로암거의 구조세목 - 3월 출간 예정 *

Part10. 도로암거의 철근상세 - 3월 출간 예정 *

Part11. 도로암거의 접합부설계 - 4월 출간 예정 *

Part12. 도로암거의 부재검토 - 휨검토 - 4월 출간 예정 *

Part13. 도로암거의 부재검토 - 전단검토 - 4월 출간 예정 *

Part14. 도로암거의 부재검토 - 처짐검토 - 4월 출간 예정 *

Part15. 도로암거의 부재검토 - 균열검토 - 4월 출간 예정 *

KDS 한계상태설계법 - 재료

MIDAS CIM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인장강도, 탄성계수, 그리고 철근의 항복강도 등에 대한 계산 방법과 재료계수에 대한 설명 등 콘크리트와 철근의 재료 특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2분 소요

🔗 [관련 게시글] KDS 한계상태설계법 모아보기

 

1.  바뀐 건설기준, 어떻게 봐야 할까요? (바로가기 ↗️)

2. KDS 한계상태설계법 - 프리스트레스트 구조물(바로가기 ↗️)

3. KDS 한계상태설계법 - 콘크리트의 건조수축(Shrinkage)(바로가기 ↗️)

4. KDS 한계상태설계법 - 콘크리트의 크리프(Creep)(바로가기 ↗️)

5. KDS 한계상태설계법 - 콘크리트의 피복두께(바로가기 ↗️)

6. KDS 한계상태설계법 - 재료 (Material Property) (◀️ 현재 글)

7. KDS 한계상태설계법 - 콘크리트 스트럿의 유효설계강도(바로가기 ↗️)

KDS 한계상태설계법 - 콘크리트의 피복두께

MIDAS CIM 피복두께의 정의, 공칭피복두께, 최소피복두께, 그리고 설계편차허용량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콘크리트의 피복두께를 산정하는 방법과 예시까지 KDS 한계상태설계법에 따른 콘크리트의 피복두께를 설명합니다. 1분 소요

🔗 [관련 게시글] KDS 한계상태설계법 모아보기

 

1.  바뀐 건설기준, 어떻게 봐야 할까요? (바로가기 ↗️)

2. KDS 한계상태설계법 - 프리스트레스트 구조물(바로가기 ↗️)

3. KDS 한계상태설계법 - 콘크리트의 건조수축(Shrinkage)(바로가기 ↗️)

4. KDS 한계상태설계법 - 콘크리트의 크리프(Creep)(바로가기 ↗️)

5. KDS 한계상태설계법 - 콘크리트의 피복두께 (◀️ 현재 글)

6. KDS 한계상태설계법 - 재료 (Material Property)(바로가기 ↗️)

7. KDS 한계상태설계법 - 콘크리트 스트럿의 유효설계강도(바로가기 ↗️)

KDS 한계상태설계법 - 콘크리트의 크리프(Creep)

MIDAS CIM 콘크리트의 크리프변형과 크리프계수 산정 과정, 크리프변형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 크리프계수의 의미와 산정 방법 등을 알려드립니다. 전반적인 콘크리트 크리프와 크리프계수에 대한 KDS 한계상태설계법 내용을 설명합니다. 2분 소요

🔗 [관련 게시글] KDS 한계상태설계법 모아보기

 

1.  바뀐 건설기준, 어떻게 봐야 할까요? (바로가기 ↗️)

2. KDS 한계상태설계법 - 프리스트레스트 구조물(바로가기 ↗️)

3. KDS 한계상태설계법 - 콘크리트의 건조수축(Shrinkage)(바로가기 ↗️)

4. KDS 한계상태설계법 - 콘크리트의 크리프(Creep) (◀️ 현재 글)

5. KDS 한계상태설계법 - 콘크리트의 피복두께(바로가기 ↗️)

6. KDS 한계상태설계법 - 재료 (Material Property)(바로가기 ↗️)

7. KDS 한계상태설계법 - 콘크리트 스트럿의 유효설계강도(바로가기 ↗️)

KDS 한계상태설계법 - 콘크리트의 건조수축(Shrinkage)

MIDAS CIM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변형과 건조수축계수를 산정하는 과정을 KDS 한계상태설계법을 기준으로 정리합니다. 1분 소요

🔗 [관련 게시글] KDS 한계상태설계법 모아보기

 

1.  바뀐 건설기준, 어떻게 봐야 할까요? (바로가기 ↗️)

2. KDS 한계상태설계법 - 프리스트레스트 구조물(바로가기 ↗️)

3. KDS 한계상태설계법 - 콘크리트의 건조수축(Shrinkage) (◀️ 현재 글)

4. KDS 한계상태설계법 - 콘크리트의 크리프(Creep) (바로가기 ↗️)

5. KDS 한계상태설계법 - 콘크리트의 피복두께(바로가기 ↗️)

6. KDS 한계상태설계법 - 재료 (Material Property)(바로가기 ↗️)

7. KDS 한계상태설계법 - 콘크리트 스트럿의 유효설계강도(바로가기 ↗️)

기존 시설물 내진성능 평가요령 2023 [예제집 PDF 제공]

MIDAS CIM 내진성능평가 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엔지니어를 위해 기존 (교량) 내진성능 평가요령에서 가장 활용도가 높은 예제 부분을 추가·보완하여 실무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정되었다고 합니다. 기존 시설물(교량) 내진성능평가 예제집에서 적용된 주요 제정사할들에 대해서 알아보고 구체적인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2분 소요

 

시공 단계 해석을 고려한 PSC BOX Girder Bridge 모델링 및 해석

MIDAS CIM MIDAS CIVIL에서는 모델링 편의 기능을 제공하고자 Wizard 기능을 지원하고 있으며, 그 중 PSC Box Bridge에 대해 목적에 맞게 다양한 Wiard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번 컨텐츠는 MIDAS IT가 진행한 해외 웨비나를 참고하여 유럽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교량 형식 중에 하나인 Grillage Model Wizard 기능을 소개하겠습니다. 2분 소요

 

요소별(1D, 2D, 3D) Tendon 모델링 및 결과 비교

MIDAS CIM 텐던은 콘크리트 부재에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도입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압축에 강하고 인장에 약한 콘크리트의 재료적인 특성을 보완하는 방안으로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콘텐츠에서는 콘크리트 보에 설치되는 텐던을 다양한 차원의 요소를 이용해 시뮬레이션하고, 각 요소의 차이에 따른 텐던의 응력이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알아봅니다. 3분 소요

 

선한 영향력을 펼친 마이다스아이티, 일본 지반공학회 특별상 수상

MIDAS CIM 마이다스 아이티의 기술 나눔(보급) 활동이 일본 건축/건설분야 기술자들에게 인정받아 일본 지반공학회로부터 특별상을 수상하였습니다. 마이다스 아이티 일본 법인은 2008년부터 현재까지 CPD 포인트 인증 세미나를 200회 이상 진행하며, 약 1만 명 이상의 기술자들에게 기술 교육을 제공했습니다. 1분 소요

 

지진시 응답스펙트럼 해석의 핵심 단계와 비선형 시간이력해석

MIDAS CIM midas Civil을 사용하여 내진 설계를 수행할 경우 지진과 관련한 시뮬레이션의 주요 단계와 비선형 시간 해석에 대해 진행한 해외 MIDAS 웨비나를 요약 및 정리하여 알아보겠습니다. 2분 소요

 

지반 반력계수의 의미와 산정 방법

MIDAS CIM 우리 주위의 구조물들은 지반의 특성에 따라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가 달라지기 때문에 지반반력계수를 산정하는 작업은 구조설계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평상시와 지진시에 지반반력계수를 구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께요. 2분 소요

암거의 강역 설정, 설계 기준부터 해석 모델 생성까지 한번에 알아보자

MIDAS CIM 라멘과 암거, 철골 구조물 등을 Frame 또는 Beam으로 모델링을 수행할 때, 두 단면이 만나는 곳의 겹침으로 인한 변형이 과도하게 산출되는 것을 방지기 위해 강역설정을 하는데요. 이 글을 통해 설계기준부터 해석모델 생성까지 암거의 강역설정 끝내세요! 2분 소요

콘텐츠 하단에 있는 [암거 강역거리 엑셀시트]를 받기 위해서 다운로드 양식 (여기를 클릭)을 작성해주세요😀

midas Civil의 1D Frame 요소를 활용한 암거 모델링 시 주의사항

MIDAS CIM 해석 평면의 설정, 로컬 좌표계 일치 등 midas Civil에서 1D Frame 요소로 암거 모델링을 할 시 주의해야할 사항에 대해 알아보세요. 4분 소요

 

아치교 설계 핵심사항

MIDAS CIM 아치교를 설계할 때 어떠한 점들을 고려해야 하는지, midas Civil을 사용하여 해석한 아치교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2분 소요

 

단면 1차 모멘트

MIDAS CIM 단면 1차 모멘트는 주로 단면의 도심과 보(Beam)의 전단응력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고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계산식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2분 소요